관세 폭탄을 던지며 폭주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상대로 다시 한번 유예 조치를 끌어낸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의 냉철한 외교가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셰인바움 대통령은 지난달에도 한 달간 관세 부과 유예를 받아낸 데 이어 이번에도 한시적 면제 조처를 얻어내면서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로 `2승`을 거뒀다는 평가입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6일(현지시간) 소셜미디어(SNS)를 통해 셰인바움 대통령과 통화내용을 전하며 관세를 유예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멕시코에 대한 추가 관세 유예가 셰인바움 대통령에 대한 존중의 마음으로 이뤄졌다고까지 언급하면서 그의 `트럼프 접근법`에 관심이 쏠립니다. <br /> <br />블룸버그 통신은 이날 지난해 대선 때 상대 진영에서 `얼음여왕`이라는 별명을 붙일 만큼 정치적 약점으로 여겨졌던 셰인바움 대통령의 냉철한 스타일이 미국과의 무역전쟁 국면에서는 강점으로 부각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감정에 치우치지 않고 계산적이고 기술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이 예측 불가한 스타일의 트럼프 대통령을 다루는데 오히려 적절했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멕시코에 25%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가 6일 이를 상당 부분 1개월간 유예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SNS에서는 셰인바움 대통령에 대해 "우리 관계는 매우 좋으며 우리는 불법 이민 및 펜타닐의 유입을 중단시키기 위해 국경 문제에 대해 함께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"고 우호적 제스처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보복 관세로 맞서는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대조됩니다. <br /> <br />다만, 멕시코가 지속적으로 관세를 피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합니다. <br /> <br />블룸버그는 반복되는 협상이 경제를 활성화하려는 멕시코의 외국인 투자 유치에 불확실성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AI 앵커ㅣY-GO <br />자막편집 | 이 선 <br /> <br />#지금이뉴스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030714424468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